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16

AI 서버용 HBM의 전력 설계 구조 – 효율성과 속도의 균형 목차1. AI 서버 시대, 전력 효율이 곧 경쟁력 2. HBM의 기본 전력 구조 개요 3. 병렬성과 전력의 상충 관계 4. 전력 설계 최적화 전략 – HBM4 기준 5. 패키징 단계에서의 전력 설계 6. 전력-성능 균형을 고려한 AI 서버 아키텍처 7. 실제 적용 사례 – NVIDIA, AMD, 인텔 8. AI와 전력 제어의 융합: 차세대 흐름 1. AI 서버 시대, 전력 효율이 곧 경쟁력AI 기술의 발전은 단순한 알고리즘 차원을 넘어 하드웨어 설계로 옮겨가고 있습니다.초거대 모델(GPT, Gemini, LLaMA 등)의 훈련과 추론을 담당하는 AI 서버는 이제 하나의 연산장치가 수백~수천 와트를 소모하며, 열과 전력 문제가 심각한 병목으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특히 고대역폭 메모리(HBM)는 연산 장.. 2025. 7. 23.
HBM 메모리의 내부 구조와 동작 원리 – AI 서버 설계자를 위한 가이드 목차1. AI 서버 시대, 메모리는 ‘속도’와 ‘대역폭’의 경쟁 2. HBM의 3D 적층 구조: 수직으로 쌓은 DRAM3. TSV 기술: 초고속 연결의 비밀4. 베이스 다이(Base Die): 모든 데이터 흐름의 허브5. 인터포저와 SoC 연결: HBM과 연산 장치의 다리6. HBM의 채널 구조와 병렬성7. 동작 원리 요약: 병렬 처리의 극대화8. 전력 효율과 발열 관리9. ECC 및 신뢰성 설계10. 실제 적용 사례 및 전망 1. AI 서버 시대, 메모리는 속도와 대역폭의 경쟁인공지능 서버에서 데이터 병목 현상은 성능 저하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특히 GPT나 DNN 계열과 같은 대규모 모델 학습은 수백~수천 기가바이트의 메모리 대역폭과 지연 최소화가 필수적입니다.이러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등장한.. 2025. 7. 22.
AI 데이터 폭증 시대, HBM 메모리 구조로 대응하는 법 목차1. AI 데이터 폭증과 메모리 병목 문제 2. HBM의 핵심 구조 – 데이터 폭증 시대의 특화 설계3. AI 트레이닝과 추론 성능을 좌우하는 대역폭4. 실시간 추론 성능과 지연 최소화5. 전력 효율과 TCO 개선6. AI 서버의 확장성과 유연성 확보7. 신뢰성과 강화된 유지보수 구조8. AI 데이터센터 투자와 전략적 가치9. HBM4→HBM5, 미래 구조로의 성장 경로10. 도입 전략 – HBM 기반 AI 서버 최적화 1. AI 데이터 폭증과 메모리 병목 문제오늘날 AI는 수십억~수조 개의 학습 파라미터, 멀티모달 입력, 실시간 대규모 추론 처리로 인해데이터 요구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예를 들어, GPT‑4는 수백 테라바이트(TB)의 데이터를 다루며, 멀티모달 트레이닝은 그 이상의 스.. 2025. 7. 21.
HBM4 양산에 필요한 소재 및 제조 공정 기술 목차1. HBM4 시대의 개막 – 고성능 메모리 시장의 기술 진입장벽 2. TSV(Through-Silicon Via) 공정 기술3. 마이크로 범프 및 본딩 재료4. 실리콘 인터포저 제조 기술5. HBM4용 열 인터페이스 재료(TIM)와 열관리 솔루션6. 공정 장비와 자동 검사 시스템7. 소재 수급 및 공급망 전략 1. HBM4 시대의 개막 – 고성능 메모리 시장의 기술 진입장벽HBM4(High Bandwidth Memory Generation 4)는 AI, 고성능 컴퓨팅(HPC),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등 차세대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초고속·저전력 메모리 설루션이다.최대 1.2TB/s 이상의 대역폭, 1024bit 이상의 인터페이스, 12~16단 스택 구성 등 HBM4는 성능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 및 소.. 2025. 7. 20.
HBM4의 구조와 동작 원리 – 초고속 메모리의 비밀 해부 목차1. HBM4란 무엇인가 - 차세대 메모리 기술의 진화 2. HBM4의 기본 구조 - TSV와 스택 설계의 핵심3. 인터페이스 및 대역폭 - 초고속 처리를 위한 1024bit 버스4. HBM4의 동작 원리 - 병렬 처리와 낮은 레이턴시5. HBM4가 필요한 이유 - AI와 고성능 컴퓨팅의 요구6. HBM4 기술이 가져올 미래 변화 1. HBM4란 무엇인가 – 차세대 메모리 기술의 진화HBM4(High Bandwidth Memory Generation 4)는 기존 DRAM 구조의 한계를 넘어서는 초고속 대역폭 메모리 규격으로, 2024년 이후 본격적으로 시장에 적용되기 시작했다. HBM4는 HBM3 대비 최대 50% 이상 향상된 대역폭을 제공하며, 인공지능(AI), 고성능 컴퓨팅(HPC), 데이터센터,.. 2025. 7. 19.
HVDC 초고압 직류 송전 케이블 구조와 절연 기술 분석 목차1. HVDC 케이블의 기본 구조 2. HVDC 절연 기술 - 핵심 경쟁력의 중심3. 공간전하 효과와 전계 분포 제어4. 케이블 냉각 및 열관리 설계5. 해저 케이블 구조 - 심해 적용을 위한 기술 융합6. HVDC 케이블 시험 및 인증 요소 서론HVDC 송전 케이블의 중요성과 시장 성장초고압 직류 송전(HVDC: High Voltage Direct Current)은 전기를 장거리로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방식으로,탄소중립 및 재생에너지 연계 확대에 따라 해상풍력, 도서지역, 국가 간 연결 등에서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이러한 HVDC 시스템의 중추는 바로 초고압 직류 송전 케이블입니다.케이블은 ±320kV ~ ±800kV의 고전압을 견디면서 수백 킬로미터 구간을 안정적으로 전력을 전달.. 2025. 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