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도체 기술/AI 반도체 및 서버

HBM 구조 최적화를 위한 인터포저 설계 기술 완벽 이해

by ckhome7108 2025. 7. 24.

목차

1. 왜 인터포저가 중요한가?

2. 인터포저란 무엇인가?

3. HBM 구조의 병렬성과 인터포저의 역할

4. 실리콘 인터포저 vs 유기 인터포저 – 차이점과 선택 기준

5. 인터포저 내 전력/신호 라우팅 기술

6. 인터포저 설계의 핵심 – TSV 기술의 통합

7. 인터포저 설계의 도전과제와 극복 기술

8. 미래 인터포저 기술의 발전 방향

 

1. 왜 인터포저가 중요한가?

고성능 컴퓨팅(HPC), 인공지능(AI), 데이터 센터 분야에서 **HBM(High Bandwidth Memory)**는 고대역폭, 저전력, 고속 메모리 설루션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HBM의 성능을 실제 시스템에 구현하기 위해선, GPU, AI SoC 등 연산 장치와 HBM 간의 물리적 연결 구조가 필수이며, 이 연결을 책임지는 것이 바로 인터포저(Interposer)입니다.

인터포저는 단순히 기판 위에 회로를 연결하는 구조물이 아니라, HBM의 구조를 최적화하고 병목을 제거하는 핵심 기술 플랫폼입니다.

 

HBM 구조 최적화
HBM 구조 최적화


인터포저의 설계가 정교할수록 HBM의 성능이 극대화되고, AI 서버 및 고성능 칩의 에너지 효율, 발열 제어, 신뢰성까지 함께 향상됩니다.

2. 인터포저란 무엇인가?

인터포저(Interposer)는 연산 칩(GPU, NPU 등)과 HBM 같은 고대역폭 메모리 사이에 위치하는 매우 얇은 실리콘 또는 유기 기판 기반의 중간 연결 회로판입니다.

주요 기능:

  • HBM ↔ 연산 유닛 간 고속 신호 전달
  • 수천 개의 마이크로 범프를 통한 병렬연결
  • TSV(Through-Silicon Via)를 통한 수직 통신 지원
  • 전력/신호 라우팅 분리 및 배선 최적화

인터포저는 2.5D 패키징 기술의 핵심으로, 직접적으로 칩 간 고밀도 고속 통신을 구현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3. HBM 구조의 병렬성과 인터포저의 역할

HBM은 3D 스택 방식의 DRAM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스택 내 다이들은 TSV를 통해 수직으로 연결되고, 외부에서는 수백~수천 개의 병렬 채널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합니다.

병렬 구조로 인한 인터포저 설계 요구:

  • 2048비트 이상 병렬 데이터 버스 처리 필요
  • 각 채널에 대해 독립적인 신호선 확보 필요
  • 고속 신호의 지연 및 반사 방지를 위한 라우팅 기술 적용
  • 데이터 타이밍 정렬(Time Alignment) 문제 해결

따라서 인터포저는 단순한 경유 장치가 아니라 HBM 구조 전체의 효율성과 병렬성 구현을 물리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엔진이라 할 수 있습니다.

4. 실리콘 인터포저 vs 유기 인터포저 – 차이점과 선택 기준

인터포저는 재료에 따라 실리콘 기반(Si Interposer)과 유기 물질 기반(Organic Interposer)으로 나뉘며, 각각 장단점이 명확합니다.

(1) 실리콘 인터포저

  • 고밀도 배선 구조 구현에 유리
  • 미세 패턴 설계 가능 (1~2μm급)
  • TSV 통합 설계 가능
  • 전기적 특성 우수 (저손실, 저지연)
  • 제조 공정이 고비용/고난도

(2) 유기 인터포저

  • 대형 기판 설계 용이
  • 기존 PCB 제조 공정 호환
  • 비용 절감 효과
  • 고주파 대역에서 전자파 간섭(EMI) 이슈 있음

HBM4 이상을 채택한 AI 서버나 GPU에서는 대부분 실리콘 인터포저 사용이 일반적이며, 고속성과 신호 무결성 보장을 최우선으로 하기 때문입니다.

5. 인터포저 내 전력/신호 라우팅 기술

고속 메모리 통신에서는 신호 무결성(Signal Integrity)과 전력 무결성(Power Integrity)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인터포저는 전력선과 신호선을 분리하고, 고주파 신호가 간섭을 받지 않도록 다층 구조를 채택합니다.

설계 기법:

  • Microbump–Redistribution Layer(RDL)–TSV 순의 층별 구성
  • 신호선은 중앙부, 전력선은 외곽부로 라우팅
  • GSG(Ground–Signal–Ground) 방식으로 신호 라인 안정화
  • 임피던스 정합을 통한 반사 제거 설계
  • 전원 공급을 위한 PDN(Power Delivery Network) 최적화

이 구조는 HBM의 전력 효율 향상과 함께 발열 감소, 노이즈 억제, 클럭 동기화 개선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6. 인터포저 설계의 핵심 – TSV 기술의 통합

TSV(Through-Silicon Via)는 실리콘을 관통하는 수직 배선 기술로, HBM의 3D 구조와 인터포저 사이의 연결을 실현합니다.

TSV 설계 요소:

  • 직경: 5~10μm 수준의 초미세 비아 구조
  • 높이/직경 비율 최적화로 저항 최소화
  • TSV 주위 절연 층 설계로 누설 전류 방지
  • 전류 집중 분산 설계로 발열 억제

HBM 다이 내부에서 내려온 TSV는 인터포저의 TSV와 정렬되어 실리콘 수직 방향으로 통신 통로를 형성하게 되며, 이 접합 품질이 전체 시스템의 성능과 수명을 좌우하게 됩니다.

7. 인터포저 설계의 도전과제와 극복 기술

HBM과 인터포저의 통합은 매우 정밀한 공정을 필요로 하며, 아래와 같은 기술적 도전 과제를 수반합니다.

주요 이슈:

  • TSV 간섭/크로스토크 문제
  • 열팽창 계수(CTE) 불일치 → 패키지 수명 단축
  • 배선 밀도 증가에 따른 신호 간섭
  • 전력 소모 증가 및 온도 분포 불균형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적용되는 기술:

  • Thermal-aware floorplanning → 발열 고려한 배선 배치
  • Active Interposer → 전력 제어 기능 내장
  • CoWoS, EMIB 등 고급 패키징 기술과 인터포저 연동
  • AI 기반 인터포저 자동 설계 툴 적용

8. 미래 인터포저 기술의 발전 방향

HBM의 고도화(HBM4, HBM5)와 함께 인터포저 기술도 빠르게 진화하고 있습니다.

전망:

  • Active Interposer: 단순 라우팅이 아닌 전력 관리, 신호 제어, 클럭 동기화 기능 내장
  • 3.5D 패키징: 인터포저 위에 또 다른 실리콘 스택이 올라가는 형태
  • 포토닉 인터포저: 광신호 기반 통신 기술 통합
  • AI 인터페이스 최적화 자동화: 인터포저 레이아웃을 AI가 자동 설계/배치

미래의 인터포저는 더 이상 "연결 장치"가 아니라 HBM과 연산 유닛의 통신 효율을 주도하는 지능형 통합 플랫폼으로 진화할 것입니다.

맺음말

HBM 메모리는 고성능 AI 및 서버 시장에서 연산 병목을 해소하는 핵심 자원이지만, 이 자원의 잠재력을 100% 발휘하기 위해서는 정밀한 인터포저 설계 기술이 반드시 병행되어야 합니다.

인터포저 기술을 이해하는 것은 단순한 PCB 또는 패키징 지식이 아니라, AI 컴퓨팅의 물리적 인프라를 마스터하는 핵심 열쇠가 됩니다.

 

📌 관련 글도 함께 읽어보면 도움이 됩니다!

 

[반도체 기술/AI 반도체 및 서버] - HBM4 기반 AI 서버 아키텍처 – 병렬 처리의 진화

 

[반도체 기술/AI 반도체 및 서버] - 차세대 AI 서버에 탑재될 HBM5 구조 미리 보기

 

[반도체 기술/반도체 관련주] - 2025년 초, AI 서버 호황이 부른 반도체株 승자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