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도체 기술/AI 반도체 및 서버

차세대 AI 서버에 탑재될 HBM5 구조 미리 보기

by ckhome7108 2025. 7. 26.

목차

1. AI 컴퓨팅 한계를 넘는 새로운 메모리, HBM5의 등장을 주목하라

2. HBM5의 등장 배경 – HBM4의 한계를 넘어

3. HBM5의 핵심 사양 및 구조 변화

4. 인터포저 및 패키징 최적화 – CoWoS의 진화

5. 전력 효율 중심 구조 – AI 환경 최적화

6. AI 연산 최적화 – LLM, DNN, 추론용 구조 내장

7.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의 HBM5 대응 전략

8. 차세대 AI 서버의 핵심, HBM5가 그리는 미래

 

1. AI 컴퓨팅 한계를 넘는 새로운 메모리, HBM5의 등장을 주목하라

인공지능(AI) 연산의 규모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기존 메모리 기술로는 데이터 처리 속도와 에너지 효율성의 한계가 명확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HBM5(High Bandwidth Memory 5)는 AI 서버에 최적화된 차세대 고대역폭 메모리 설루션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차세대 AI 서버
차세대 AI 서버

 

HBM5는 단순한 속도 향상이 아닌, AI 서버 환경 전반을 최적화하기 위한 구조적 진화를 거듭하고 있으며, 2025년 이후 AI 서버 시장에서 사실상의 표준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2. HBM5의 등장 배경 – HBM4의 한계를 넘어

HBM4는 2024년부터 본격 양산되며 3.2~4.2 Gbps 수준의 I/O 성능과 2TB/s 이상 대역폭을 제공하였습니다.
하지만 AI 모델의 복잡성이 커질수록 다음과 같은 한계가 발생합니다.

  • 데이터 병목(Bottleneck): 초거대 모델 연산 시 채널 포화
  • 전력 효율 저하: 전송 속도 상승에 따른 발열 급증
  • 확장성 부족: 스택 수 제한으로 인한 용량 한계
  • 통신 인터페이스 병렬화 어려움

HBM5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AI 학습 및 추론 양쪽 모두를 커버할 수 있는 궁극적 메모리 설루션으로 설계되고 있습니다.

3. HBM5의 핵심 사양 및 구조 변화

HBM5는 단순히 ‘빠른 메모리’가 아니라, 완전히 새롭게 재설계된 고대역폭 병렬 처리용 DRAM입니다.

(1) 대역폭 및 속도

  • 최대 6.4 Gbps/pin 이상 지원 (HBM4는 3.2~4.2 Gbps)
  • 2048bit 인터페이스 기준 >3TB/s 대역폭 실현
  • DDR 대비 50배, GDDR6 대비 8배 이상 속도 향상

(2) 채널 구조 및 병렬성 강화

  • 기존 대비 채널 수 33% 이상 증가
  • 각 채널 별 독립 Refresh 및 Power-Gating 지원
  • 동적 채널 할당 기술 내장 (AI workload 기반 분배)

(3) 스택 및 TSV 구조

  • 최대 16-Hi 3D DRAM 스택 지원
  • TSV 밀도 향상으로 면적 대비 용량 증가
  • TSV 전력 최적화로 누설 전류 감소

이러한 변화는 곧 더 많은 데이터, 더 빠른 응답성, 더 적은 전력소모라는 AI 서버 운영자에게 가장 필요한 세 가지 핵심 가치를 제공합니다.

4. 인터포저 및 패키징 최적화 – CoWoS의 진화

HBM5는 반드시 고속 인터포저 설계 기술과 함께 구현되어야 합니다.
특히 CoWoS, Foveros 등 2.5D/3D 패키징 기술이 진화하며, HBM5와 연산 유닛 간 통신 병목을 제거할 수 있게 됩니다.

HBM5와 인터포저 연동 요소:

  • 신호선 최단거리 설계 (sub-mm)
  • 전력/클럭 경로 최적화 및 열 분산 설계
  • AI Core ↔ HBM5 간 통합 메모리 관리 회로 배치
  • EMI/노이즈 차폐 설계 강화

NVIDIA, AMD, 인텔 등 주요 기업은 HBM5와 함께 동작할 수 있는 전용 인터포저 설계 플랫폼을 개발 중입니다.

5. 전력 효율 중심 구조 – AI 환경 최적화

HBM5는 전력당 성능(Performance per Watt) 개선이 두드러집니다.
이는 AI 서버에서 매우 중요하게 평가되는 지표입니다.

핵심 기술:

  • DVS(Dynamic Voltage Scaling) 내장
  • Power Gating + Thermal-aware Refresh 적용
  • AI 워크로드에 따라 읽기/쓰기 타이밍 동적 조절
  • 채널/뱅크 단위로 전원 공급 제어 가능

전력 효율 개선은 곧 발열 감소, 서버 밀도 증가, 냉각 비용 절감으로 이어져 대형 데이터센터의 TCO(Total Cost of Ownership) 절감에 직접 기여합니다.

6. AI 연산 최적화 – LLM, DNN, 추론용 구조 내장

HBM5는 단순한 DRAM이 아닌, AI 연산 구조 자체를 지원하기 위한 설계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AI 최적화 구조:

  • Burst Mode 개선 → 대용량 데이터 블록 처리 속도 향상
  • Random Access 최적화 → 트랜스포머 기반 연산 개선
  • Pipeline Pre-fetch 회로 내장 → DNN 구조 대응
  • ECC 기능 향상 → 대량 연산 시 안정성 확보

특히 GPT 계열, Gemini, Claude 등 대형 LLM을 처리할 때 HBM5는 Token 흐름 속도 증가, Embedding 캐시 활용, 모델 파라미터 처리에 탁월한 성능을 보입니다.

7.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의 HBM5 대응 전략

NVIDIA

  • HBM5 기반 Blackwell(B100) 아키텍처 예정
  • 최대 4TB/s 이상 대역폭 목표
  • NVSwitch 및 NVLink-Fabric 연동으로 HBM 간 직접 통신 지원

AMD

  • MI400 시리즈에서 HBM5 채택 예상
  • CDNA 4 아키텍처와 통합된 고성능 AI 가속기 개발
  • 인터포저 설계 최적화를 통한 열 밀도 감소 시도

인텔

  • Gaudi 4, Xeon + Habana 통합 칩에 HBM5 탑재 계획
  • HBM5-Stack ↔ AI-ASIC ↔ CPU 간 공통 메모리 버스 구조 채택
  • 고속 PCIe 6.0 연동으로 외부 메모리 확장 대응

이처럼 주요 반도체 기업들은 HBM5를 AI 서버의 핵심 기반 기술로 받아들이고, 그에 맞는 시스템 구조와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8. 차세대 AI 서버의 핵심, HBM5가 그리는 미래

AI 서버는 이제 ‘더 빠른 연산’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흐름, 에너지 효율, 연산 신뢰성이 함께 요구되는 복합 시스템이며, 이 모든 요소의 허리를 담당하는 것이 바로 HBM5 메모리입니다.

전망:

  • 2025~2026년: 프리미엄 AI 서버 전면 도입
  • 2027년 이후: HBM5 Lite 버전으로 중소 AI 서버 및 에지 서버 확산
  • 2028년 이후: HBM6 개발 및 구조 전환의 기반 플랫폼

HBM5는 단순한 업그레이드가 아닌, AI 시스템 아키텍처 전반을 새롭게 정의하는 패러다임의 전환점이 될 것입니다.

맺음말

HBM5는 단순히 속도 향상만을 목표로 한 기술이 아닙니다.
AI 연산의 본질을 이해하고, 이를 위해 메모리 구조 자체를 재정의한 혁신적 설계입니다.

AI 시대의 진정한 경쟁력은 HBM5 같은 차세대 메모리와 이를 최적화하는 구조적 통찰에서 시작됩니다.
지금이 바로, HBM5를 통해 AI 인프라 혁신을 선도할 준비를 해야 할 시점입니다.

 

📌 관련 글도 함께 읽어보면 도움이 됩니다!

 

[반도체 기술/반도체 관련주] - 2025년 초, AI 서버 호황이 부른 반도체株 승자들

 

[반도체 기술/반도체 관련주] - SK하이닉스 다음은? HBM 외 메모리株 탐구

 

[반도체 기술/반도체 관련주] - 글로벌 반도체 M&A 소식…투자 흔들릴 종목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