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도체 기술/전력 반도체

HVDC와 신재생 에너지 연계 전략 – 해상풍력 및 태양광 중심

by ckhome7108 2025. 8. 17.

목차

1. 탄소중립 시대, 왜 HVDC가 중요한가?

2. 해상풍력 발전의 구조적 한계와 HVDC의 필요성

3. 태양광 발전과 HVDC 연계의 전략적 의미

4. VSC-HVDC 기술의 신재생 최적화 특성

5. 글로벌 해상풍력 HVDC 연계 사례

6. 국내 해상풍력 HVDC 추진 전략

7. HVDC-태양광-ESS 복합 계통의 미래

8. 정책과 제도의 정비 필요성

 

1. 탄소중립 시대, 왜 HVDC가 중요한가?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글로벌 흐름 속에서 신재생 에너지(태양광, 풍력)의 확대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그러나 신재생 에너지는 출력의 간헐성과 위치적 제약이 크기 때문에, 이를 기존 전력망에 효율적으로 연계하는 것이 기술적 과제가 되고 있습니다.

이때 HVDC(High Voltage Direct Current, 초고압 직류 송전)는 대규모 신재생 전원과 중앙 전력계통을 연결하는 최적의 설루션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HVDC와 신재생 에너지
HVDC와 신재생 에너지


특히 해상풍력 및 대규모 태양광 단지는 통상 발전 지역이 전력 수요지에서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장거리·고효율 송전이 가능한 HVDC 기술은 전력 인프라의 중추 역할을 하게 됩니다.

2. 해상풍력 발전의 구조적 한계와 HVDC의 필요성

해상풍력은 육상보다 풍속이 일정하고 출력이 높아 발전 효율은 우수하지만,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습니다:

  • 발전소가 도심에서 수십~수백 km 떨어진 바다에 위치
  • 케이블 설치 시 지중 송전 거리 + 해저 송전 거리 동시 존재
  • 기상 조건 변화로 인한 전압 불안정성 발생
  • 기존 교류(AC) 송전 방식은 거리 증가 시 리액턴스 손실 과다

이러한 구조적 한계에서 벗어나기 위한 핵심 기술이 바로 VSC-HVDC(전압형 컨버터 기반 직류 송전)입니다.
VSC-HVDC는 풍력 단지와 변환소 간 거리가 길더라도 손실이 적고, 출력 제어가 자유로우며, 케이블 설치 공간도 절약할 수 있습니다.

 

📌 관련 글도 함께 읽어보시면 도움이 됩니다!

[반도체 기술/전력 반도체] - HVDC용 전력반도체 – IGBT, SiC, IGCT의 기술 비교

3. 태양광 발전과 HVDC 연계의 전략적 의미

태양광 발전은 출력 변동이 크고, 일사량 의존성이 강한 전원입니다.
보통 대규모 태양광 플랜트는 사막지대, 고산지대, 농업 외곽지역 등에 설치되며, 인구 밀집 도시와는 물리적 거리가 멉니다.

이 경우 전력을 도심으로 보내기 위해 AC 방식보다 에너지 손실이 적은 HVDC 송전이 효율적입니다.
또한 VSC 기반 HVDC는 태양광 발전의 특징인 출력 변동성(비정상 상태)도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어,
ESS(에너지 저장장치)와 함께 사용하는 복합 인프라 전략에도 적합합니다.

4. VSC-HVDC 기술의 신재생 최적화 특성

VSC(Voltage Source Converter)는 기존의 LCC 방식보다 신재생에너지 연계에 유리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주요 기술적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독립 전압 제어 가능: 외부 계통 없이도 운전 가능 (무전압 시동)
  • 무효전력 제어 능력: 출력 품질 유지에 유리
  • 양방향 전력 흐름 제어: ESS 및 지역 간 전력 교환에 최적
  • 소형화 및 모듈화 가능: 해상 플랫폼 적용 용이

특히 해상풍력과 같이 공간 제약이 크고, 유지보수가 어려운 환경에서는
공장 제작형 VSC-HVDC 변환소를 해상 플랫폼에 직접 설치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유지 비용을 절감하고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 관련 글도 함께 읽어보시면 도움이 됩니다!

[반도체 기술/전력 반도체] - HVDC 해저케이블 기술과 시공 도전과제 – 동해안 연계 사례 포함

5. 글로벌 해상풍력 HVDC 연계 사례

(1) 독일 BorWin 프로젝트

  • Siemens Energy 주도
  • 북해 해상풍력 전력을 독일 남부 육지로 송전
  • 400~900MW급 VSC-HVDC 다수 적용
  • 모듈형 해상 변환소 구조 + 해저 DC 케이블 + 지중 접속

(2) 영국-노르웨이 North Sea Link

  • Hitachi Energy 참여
  • 북유럽 해상풍력 자원 ↔ 영국 계통 연계
  • 1400MW급 VSC 기반 HVDC 시스템
  • 안정적인 전력 가격 통합 및 계통 보완 목적

이러한 해외 사례들은 해상풍력 기반의 HVDC 시스템이 기술적 안정성과 경제성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음을 입증합니다.

 

📌 관련 글도 함께 읽어보시면 도움이 됩니다!

[반도체 기술/전력 반도체] - HVDC vs HVAC 송전비용 비교 – 경제성 분석 시뮬레이션

6. 국내 해상풍력 HVDC 추진 전략

한국 역시 전라남도, 울산, 제주 등에서 대규모 해상풍력 개발 계획을 세우고 있으며,
그중 일부는 HVDC 연계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대표 프로젝트

  • 제2 제주 HVDC 연계망: 해상풍력 → 제주 본섬 → 육지 계통
  • 서남권 해상풍력 → 수도권 HVDC 송전망 계획(예정)
  •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 VSC 연계 검토 중

국내 기술 기업인 LS ELECTRIC, 효성중공업, KAPES, 현대건설 등이 참여하며,
모듈형 변환소, 수랭식 냉각기술, 고속 제어 알고리즘 개발이 함께 진행 중입니다.

 

📌 관련 글도 함께 읽어보시면 도움이 됩니다!

[반도체 기술/전력 반도체] - HVDC 통신 및 보호 시스템의 설계 원리

7. HVDC-태양광-ESS 복합 계통의 미래

향후 에너지 시스템은 단순한 발전과 송전이 아닌 복합형 계통 제어로 진화할 것입니다.
HVDC는 이 복합 계통에서 다음과 같은 중심축 역할을 수행합니다:

  • 태양광 + ESS → HVDC 변환소 → 도심부 공급
  • 잉여전력 변환 및 타 지역 송전
  • 지역 간 전력거래 플랫폼(스마트그리드 기반)
  • HVDC + AI 기반 부하예측 연계

이러한 구조는 단순히 기술적 이점 외에도 전력시장 유연성, 가격 안정성, 전력망 안정성 확보 등 다양한 효과를 가져옵니다.

 

📌 관련 글도 함께 읽어보시면 도움이 됩니다!

[반도체 기술/전력 반도체] - 국내 HVDC 관련 기업 TOP 5 – LS ELECTRIC, 현대건설, 효성중공업 등

8. 정책과 제도의 정비 필요성

HVDC 연계는 단순한 기술 구현을 넘어서 법·제도, 표준, 인허가 체계 등과 유기적으로 맞물려야 성과를 낼 수 있습니다.

개선이 필요한 요소

  • 직류 송전망 구축에 대한 제도적 지원
  • 신재생 전원과의 기술 표준 연동
  • 민간 기업 참여 인센티브 강화
  • 해상 플랫폼 구조물 인허가 간소화

특히 한국은 전력거래소 및 송전망 운영 구조상 기존 AC 중심의 설계 체계가 여전히 강하게 작용하고 있어,
HVDC 확산을 위해 정책적 전환과 실증사업 확대가 필수적입니다.

결론

HVDC는 신재생 에너지 시대의 전력 인프라 중심

HVDC 기술은 해상풍력과 태양광 같은 차세대 신재생 에너지원과 완벽한 궁합을 이루며,
국가 전력망의 유연성, 안정성, 경제성을 동시에 강화하는 인프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 해상풍력 → VSC-HVDC → 지중 송전 → 도심 공급
  • 태양광 플랜트 → HVDC 변환소 → 스마트 그리드 연계

이러한 구조는 향후 수소 생산, 전기차 초급속충전, 지역 간 전력거래 플랫폼 등에도 확장될 수 있으며,
HVDC는 단순한 송전 기술이 아닌 미래 에너지 허브의 핵심 기술로서 자리매김하게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