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도체 기술/전력 반도체

국내 HVDC 관련 기업 TOP 5 – LS ELECTRIC, 현대건설, 효성중공업 등

by ckhome7108 2025. 8. 16.

목차

1. HVDC 산업, 왜 주목받는가?

2. LS ELECTRIC - 국산 VSC-HVDC 선도 기업

3. 현대건설 - HVDC EPC 전문 역량 보유

4. 효성중공업 - 초고압 전력기기 국산화 리더

5. 한국전력공사(KEPCO) - 시스템 통합 및 정책 주도자

6. KAPES - 기술 융합 기반 HVDC 플랫폼 기업

 

1. HVDC 산업, 왜 주목받는가?

HVDC(High Voltage Direct Current, 초고압 직류 송전)는 장거리 전력 전송, 해상풍력 연계, 도심 지중 송전 등에서 기존 HVAC 방식 대비 송전 효율과 계통 안정성이 뛰어난 차세대 인프라 기술입니다.

한국은 탄소중립 시대에 발맞춰 신재생 전원 확대와 전력망 고도화를 동시에 추진 중이며, 이러한 맥락에서 HVDC 관련 기업들의 기술력과 시장 대응력은 에너지 산업의 경쟁력 지표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국내 HVDC 관련 기업
국내 HVDC 관련 기업

 

이번 글에서는 국내 HVDC 산업 생태계에서 핵심 역할을 수행 중인 상위 5개 기업의 기술력, 프로젝트 참여 현황, 미래 성장성 등을 분석합니다.

2. LS ELECTRIC – 국산 VSC-HVDC 선도 기업

LS ELECTRIC(구 LG산전)은 국내에서 가장 먼저 HVDC 변환기 기술 국산화에 성공한 전력전자 전문기업입니다.
특히 VSC(Voltage Source Converter) 기반 시스템 개발에 집중하여 도심·해상풍력·지중 송전 시장을 타깃으로 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주요 역량

  • VSC-HVDC 컨버터 완전 국산화
  • HVDC용 전력반도체 모듈, 제어 소프트웨어, 냉각시스템 자체 설계
  • KAPES(한국전력-ABB 합작법인)와 공동 연구 협력
  • IEC 61850 기반 디지털 보호 시스템 탑재

프로젝트 참여

  • 제주~해남 HVDC 2차 사업
  • 동해안~수도권 VSC-HVDC 인프라 실증
  • 스마트 변전소 시범 구축 (산자부 과제)

향후 성장 포인트

  • HVDC 플랫폼 수출 확대 (동남아, 중동 타깃)
  • ESS 및 태양광 연계형 HVDC 설루션 개발
  • 반도체 공장 전용 직류 전력망 상용화 추진

LS ELECTRIC은 기술력뿐 아니라 국내 전력 설비 정책과의 정합성도 높아, 향후 정부 R&D 수혜 가능성이 높은 기업입니다.

 

📌 관련 글도 함께 읽어보시면 도움이 됩니다!

[반도체 기술/전력 반도체] - HVDC 계통 연계 시 계통 안정성 문제와 해결 방법

3. 현대건설 – HVDC EPC 전문 역량 보유

현대건설은 국내 EPC(설계·조달·시공) 기업 중 전력플랜트 및 송변전 인프라 시공 실적 1위 기업으로, HVDC 분야에서는 전환소, 송전선로, 해저케이블 포설 등 종합적 시공 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주요 역량

  • 초고압 변환소 구조 설계 및 시공
  • HVDC 해저터널·지중암반 굴착 공법 독자 개발
  • VSC 변환소 및 고전압 절연 구조물 특화 설계
  • 해상 모듈형 변환소(MCP) 시공 기술 확보

주요 참여 사례

  • 제2 제주 HVDC 프로젝트 – 변환소 건설 주관
  • 동해안 해저케이블 연계망 – 해양 시공 EPC
  • UAE/카타르 HVDC 입찰 참여 중 (해외사업 확대)

경쟁력 분석

  • 원가 절감형 시공기술 보유 → 경쟁 입찰 우위
  • 탄탄한 글로벌 EPC 수주망 → HVDC 수출 패키지 확대 가능
  • 지능형 설계(BIM 기반 HVDC 시공설계) → 디지털 시공 전환 선도

현대건설은 HVDC를 미래형 인프라 포트폴리오로 확장 중이며, 향후 탄소중립형 인프라 패키지 시장에서 영향력을 키울 전망입니다.

 

📌 관련 글도 함께 읽어보시면 도움이 됩니다!

[반도체 기술/전력 반도체] - HVDC 기술 동향 2025 – 중국, 유럽, 한국의 기술 전략 비교

4. 효성중공업 – 초고압 전력기기 국산화 리더

효성중공업은 초고압 변압기, 개폐기, 절연체 등 HVDC 구성 기기의 국산화에 강점을 가진 기업입니다.
특히 LCC, VSC 시스템 모두에서 활용 가능한 HVDC용 전력기기 생산라인을 구축하고 있어, 국내외 대형 프로젝트에서 안정적 공급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핵심 기술

  • ±800kV급 HVDC 변압기 독자 설계 가능
  • GIS(Gas Insulated Switchgear) 및 직류 개폐기(DCCB) 국산화
  • 절연재료 및 부싱(Bushing) 자체 제조

사업 수행 내역

  • 제주 HVDC 해저 송전 변압기 납품
  • 서남해 해상풍력 연계용 HVDC 변전설비 공급
  • 국내외 30건 이상 초고압 전력기기 공급 실적

미래 전략

  • 전기차 초급속 충전용 직류 기기 시장 진출
  • HVDC+ESS 결합형 송전 시스템 개발 중
  • 미국, 인도, 사우디 대상 HVDC 기자재 수출 추진

효성중공업은 HVDC 시장의 핵심 부품을 공급하는 B2B 인프라 기업으로서 중장기 수익 기반이 탄탄합니다.

 

📌 관련 글도 함께 읽어보시면 도움이 됩니다!

[반도체 기술/전력 반도체] - HVDC 시험 및 인증 절차 – KERI, IEC 국제표준 기반

5. 한국전력공사(KEPCO) – 시스템 통합 및 정책 주도자

한국전력은 국내 송배전 계통의 설계, 운영,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공기업으로, HVDC 기술 도입과 확산에서 기획·운영·표준화 주체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주요 기능

  • 국내 HVDC 프로젝트 발주 및 운영 주관
  • KAPES를 통한 글로벌 기술 협력(ABB와 합작)
  • HVDC 연계 정책 수립 및 실증사업 추진

대표 사업

  • 제주~해남 HVDC 1·2차 사업
  • 동해안~수도권 500kV VSC-HVDC 실증 추진
  • 국가 간 HVDC 연계망 타당성 평가 착수 (일본/중국 연계 검토)

기술 협력 구조

  • KDN(전력 ICT)와의 통신 연계
  • 한전전력연구원(KEPRI)의 보호계전 알고리즘 개발
  • 전문계통운용센터(SOC)를 통한 제어 통합

한전은 단순 운영 주체를 넘어서, 국가 전력망을 HVDC 중심으로 개편하기 위한 정책 기반 마련의 핵심 기관입니다.

 

📌 관련 글도 함께 읽어보시면 도움이 됩니다!

[반도체 기술/전력 반도체] - HVDC 인버터/컨버터 내부 구조 분석 – 제어, 전력전자 기술 중심

6. KAPES – 기술 융합 기반 HVDC 플랫폼 기업

KAPES(Korea-ABB Power Electronics Systems)는 한국전력과 ABB(Hitachi Energy)의 합작사로, 해외 HVDC 기술 내재화 + 국내 프로젝트 실행력을 동시에 보유한 유일한 기업입니다.

주요 기술 역량

  • LCC, VSC 양방향 변환 시스템 설계 능력
  • HVDC 통신, 보호계전, 시스템 통합 엔지니어링
  • 현장 맞춤형 SCADA/EMS 설계 제공

대표 실적

  • 제2 제주 HVDC 컨버터 납품 및 시스템 통합
  • HVDC 시뮬레이션 플랫폼 구축
  • 고장파형 검출 기술 공동개발(KEPRI, LS ELECTRIC 협력)

KAPES는 한국의 HVDC 독립 기술 확보에 중요한 전략적 파트너로,
향후 동북아 전력망 통합 또는 탄소중립 연계 프로젝트에서 높은 역할이 예상됩니다.

 

📌 관련 글도 함께 읽어보시면 도움이 됩니다!

[반도체 기술/전력 반도체] - HVDC 관련주란? – 차세대 전력망 인프라 산업의 핵심 투자 테마

결론

HVDC 산업의 미래를 선도할 국내 기업

HVDC는 단순한 송전 기술이 아니라 차세대 에너지 인프라, 스마트그리드, 전기차 급속충전, 국가 간 전력거래 허브로의 발전 가능성을 지닌 분야입니다.
LS ELECTRIC, 현대건설, 효성중공업, 한국전력, KAPES는 각각 기술 개발, 시공, 장비 제조, 운영, 정책 플랫폼을 담당하며 HVDC 산업 생태계의 중심축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향후 HVDC 시장은 연평균 1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들 기업의 전략적 기술 투자와 해외시장 진출은 에너지 안보, 수출 산업, 고부가가치 인프라 구축의 핵심 축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