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도체 기술/AI 반도체 및 서버

HBM vs GDDR6 – AI 서버용 메모리 선택 기준 완전 분석

by ckhome7108 2025. 8. 8.

목차

1. AI 서버의 메모리 선택, 왜 중요한가?

2. HBM 구조와 성능 특성

3. GDDR6 구조와 특성 비교

4. 대역폭 비교 – 병렬 vs 클록 기반

5. 전력 효율과 공간 효율

6. 지연과 안정성 비교

7. 비용 및 복잡성

8. AI 워크로드 특성에 따른 선택 기준

9. 최근 적용 사례 및 시장 동향

10. 향후 전망 – GDDR7과 HBM4/5 경쟁

 

1. AI 서버의 메모리 선택, 왜 중요한가?

AI 학습 및 추론 워크로드는 대규모 병렬 연산과 초저지연 데이터 접근이 핵심입니다.
메모리 대역폭과 지연은 전체 시스템 성능을 제한하며, 일반 DDR/DIMM 메모리로는 데이터를 빠르게 공급할 수 없습니다.

 

HBM vs GDDR6
HBM vs GDDR6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HBM(High Bandwidth Memory)과 GDDR6 두 기술이 주로 사용되며, 각각의 특성과 장단점을 고려한 AI 서버 아키텍처 설계가 필수입니다.

2. HBM 구조와 성능 특성

핵심 구조:

  • 3D 스택 적층 (HBM3: 8–16층, HBM4: 최대 16층)
  • TSV(Through‑Silicon Via) 기반 수직 연결
  • 실리콘 인터포저로 GPU/SoC와 고속 연결
  • 와이드 버스 (최대 2048bit) + 채널 병렬 구조

대표 성능:

3. GDDR6 구조와 특성 비교

핵심 구조:

  • 기존 PCB 실장형 칩
  • 32–64bit 버스 × 다중칩 구성
  • 고속 클럭 (최대 16–21 Gbps/pin)

대표 성능:

4. 대역폭 비교 – 병렬 vs 클록 기반

항목, HBM (예: HBM3), GDDR6

 

버스폭 1024–2048bit 256–384bit
클록 속도 6–9.8 Gbps/pin 16–21 Gbps/pin
스택당 대역폭 ~819 GB/s (HBM3), ~1.2 TB/s (HBM3E) directmacro.com+10fibermall.com+10Massed Compute+10Massed Compute위키백과+2arXiv+2Reuters+2Massed Compute+9위키백과+9위키백과+9 ~768 GB/s (384bit 구성) BittWare위키백과
병렬 처리 뛰어남 한계 있음
 

HBM은 병렬 처리 중심, GDDR6는 클록 기반 고속 처리에 최적합

5. 전력 효율과 공간 효율

HBM:

GDDR6:

  • PIN당 전력 소모 큼, 저전력 설계 한계
  • PCB 위 칩 구성으로 보드 공간 소모 커짐

결국 전력비와 열 관리 측면에서 HBM이 AI 서버 설계에 보다 유리합니다.

6. 지연과 안정성 비교

HBM:

  • 짧은 TSV 경로, 칩팹 내 가까운 연결
  • 지연 감소, 동시에 신호 왜곡 최소화

GDDR6:

  • PCB 기반 긴 트레이스 적용
  • PCB 트레이스→지연·EMI 증가 가능

결론: AI용 실시간 추론, 초저지연 워크로드에는 HBM이 우세

7. 비용 및 복잡성

  • HBM: 패키징(인터포저, TSV), 적층 공정 등으로 단가 높고 복잡도 높음
  • GDDR6: 범용 생산 및 모듈러 PCB 구조로 비용 절감 및 공급 안정성 우수

예산, 수요에 따라 적절한 밸런스가 필요

8. AI 워크로드 특성에 따른 선택 기준

  • 훈련/슈퍼컴퓨팅: 대규모 병렬 워크로드 → HBM 추천
  • 실시간 추론/엔드포인트: 고속 응답 + 비용 고려 → GDDR6 또는 LPDDR6 적합 Semiconductor Engineering

9. 최근 적용 사례 및 시장 동향

10. 향후 전망 – GDDR7과 HBM4/5 경쟁

  • GDDR7: PAM‑3 기반, 최대 32 Gbps/pin, 온‑칩 ECC, ~1.5 TB/s 위키백과
  • HBM4/5: 병렬 구조 고도화, PIM 통합, CXL 확장, 스택당 대역폭 >2 TB/s

고성능 워크로드는 HBM4/5가 우위
코스트 민감 워크로드는 GDDR7이 현실적 대안

결론 – 최적 메모리 설정 전략

  1. 초대형 AI 모델 > 유닛 기반 연산HBM 필수
  2. 실시간 엔드포인트/에지 서버 → → GDDR6/7 적합
  3. 중간 수준 하이브리드 서버 → → HBM + GDDR6 조합 설계 고려
  4. 미래지향 전략: HBM5, CXL, PIM 도입 대비 및 GDDR7 모듈화 활용

맺음말

HBM과 GDDR6/7은 AI 서버의 워크로드와 예산 목표에 따라 선택되어야 하며, 각 시스템의 대역폭, 지연, 전력, 공간, 비용, 확장성 등 시스템 관점에서 종합 설계 전략이 필요합니다.
특히 AI 트레이닝/추론 분야에서는 HBM 기반 아키텍처가 성능 우위와 투자 대비 효과를 동시에 제공해 줍니다.

 

📌 관련 글도 함께 읽어보면 도움이 됩니다!

 

[반도체 기술/AI 반도체 및 서버] - HBM 메모리의 내부 구조와 동작 원리 – AI 서버 설계자를 위한 가이드

 

[반도체 기술/AI 반도체 및 서버] - AI 서버의 열을 잡는 HBM 구조 설계와 냉각 기술

 

[반도체 기술/AI 반도체 및 서버] - HBM이 바꾼 AI 서버 생태계 – 고대역폭 구조의 전략 분석